CnetOS 방화벽 설정 

-       CentOS 6.4 

   

CentOS에서 방화벽 설정 하는 방법을 알아보자. 

   

터미널 모드를 실행하여 setup 명령어를 실행 한다. 

# setup 

   

 

   

   

텍스트 모드 설정 유틸리티가 나타나면 [방화벽 설정]을 선택 한다. 

 

   

   

방화벽 설정에서 스페이스바를 이용하여 체크를 하면 방화벽이 활성화 되며 체크를 하지 않으면 방화벽이 비활성화 된다. 

 

   

   

방화벽 활성화 여부를 선택하고 OK를 선택하면 기존 방화벽을 덮어쓰겠냐는 경고문이 나타난다. [예]를 선택하면 새로운 방화벽 정책이 적용되며 [아니오]를 선택하면 방화벽 설정 메뉴로 돌아간다. 

 

   

다른 방법으로 모든 방화벽을 제거하기 위한 명령어는 다음과 같다. 

# iptables -F 

   

방화벽 설정 확인은 다음 명령어를 사용 한다. 

# iptables -L 

   

 

   

   

   

강성욱 / http://sqlmvp.kr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CentOS 파일 압축/풀기  (0) 2015.07.22
CentOS 심볼 링크 설정  (0) 2015.07.22
CentOS IP 확인 및 변경  (0) 2015.07.22
CentOS 호스트명 (HostName) 변경  (0) 2015.07.22
리눅스 기본 – 터미널 사용, 명령어 정리  (0) 2015.07.22

CentOS 파일 압축/풀기 

-       CentOS 6.4 

   

대부분 파일을 내려 받으면 압축이 되어 있을 것이다. 또는 어떤 파일을 전달 할 때 파일의 개수가 많을 때는 용량을 줄이기 위해 압축을 하는 경우도 있지만 하나의 파일로 패킹을 하기 위해 압축을 사용하기도 한다. 

   

압축 종류에 따라 압축을 하는 방법과 해제하는 방법을 알아보자. 

   

다음 예제는 아파치 사이트에서 하둡을 다운로드 하였을 때 압축 파일이다.  

 

   

터미널 모드에서 압축을 풀어 보도록 하자.  

# tar zxvf hadoop-1.2.1.tar.gz 

   

 

   

압축이 해제 된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리눅스 장비에서 파일을 압축하거나 푸는 방법은 다양하다. 압축 방식에 따른 장/단점 및 사용법에 대해서 알아보자. 

   

[ZIP]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압축 확장자 이다.  

l  장점 : 거의 모든 OS 환경에서 호환 된다. 

l  단점 : 최고 레벨의 압축을 지원하지 않는다. (tar.gz나 tar.bz2보다 압축 레벨이 낮다.) 

압축 

해제 

# zip –r FILENAME.zip FILENAME 

# unzip FILENAME 

   

l  'r' 옵션을 사용하여 하위 폴더까지 모두 압축  

   

   

[TAR] 

리눅스 환경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l  장점 : 압축에 소비되는 시간, CPU 사용량이 적다. 

l  단점 : 압축이 거의 되지 않는다. 주로 여러 파일을 하나의 파일로 묶는 용도로 사용한다. 

압축 

해제 

# tar –cf FILENAME.tar FILENAME 

# tar –xf FILENAME.tar 

  

지정된 위치에 풀기 

  

# tar –xvf FILENAME.tar –C /tmp/path/ 

  

   

   

[TAR.GZ] 

리눅스 환경에서 사용하기 가장 좋은 압축 옵션 중 하나 이다. 

l  장점 : 압축률은 높은 편이지만 CPU는 많이 소비되지 않는다. 

l  단점 : 최고 레벨의 압축을 지원하지 않는다. 

압축 

해제 

# tar –zcvf FILENAME.tar.gz FILENAME 

# tar –zxvf FILENAME.tar.gz 

  

지정된 위치에 풀기 

  

# tar –zxvf FILENAME.tar.gz –C /tmp/path/ 

   

l  'v'옵션으로 압축풀기 실행 과정 출력 

   

   

[TAR.BZ2] 

리눅스 환경에서 사용하기 가장 적합한 압축 옵션 중 하나 

장점 : 최고의 압축률 

단점 : 시간 및 CPU 사용률 높음 

압축 

해제 

# tar –jcvf FILENAME.tar.bz2 FILENAME 

# tar –jxvf FILENAME.tar.gz2 

  

지정된 위치에 풀기 

  

# tar –jxvf FILENAME.tar.bz2 –C /tmp/path 

   

   

   

[참고자료] 

http://kthan.tistory.com/152 

   

   

강성욱 / http://sqlmvp.kr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CnetOS 방화벽 설정  (0) 2015.07.22
CentOS 심볼 링크 설정  (0) 2015.07.22
CentOS IP 확인 및 변경  (0) 2015.07.22
CentOS 호스트명 (HostName) 변경  (0) 2015.07.22
리눅스 기본 – 터미널 사용, 명령어 정리  (0) 2015.07.22

CentOS 심볼 링크 설정 

-       CentOS 5.1 

   

   

l  심볼릭 링크 만들기 : ln [옵션] [파일명] [링크명] 

예를 들어 java라는 폴더가 루트에 있을 때 java에 대한 심볼을 만들어 보자. 

[root@cent4 ~]# ln –s jdk1.7.0_45 java 

   

ln에 대한 옵션은 man ln 을 실행하면 도움말을 볼 수 있다. 

 

   

l  -b : 대상 파일이 이미 있으면 그것을 백업 한다. 

l  -d : 경로의 하드링크를 허용한다. 시스템 관리자만 가능 

l  -f : 대상 파일이 이미 있어도 그냥 지운다 

l  -i : 대상 파일이 이미 있을 때 어떻게 할 것인지 사용자에게 물어본다. 

l  -n : 만약 링크할 파일이 심볼릭 파일이면 ln 명령은 그 심볼릭 대상이 되는 파일을 링크한다. 

l  -s : 심볼릭 링크 생성 

l  -v : 각 파일의 작업 상태를 자세히 보여준다. 

l  -help : 도움말을 보여주고 마친다. 

l  -version : 버전 정보를 보여주고 마친다. 

l  -S : 만약에 대상이 이미 있어 백업을 해야할 경우에 그 백업 파일에서 사용할 파일 이름의 꼬리문자를 지정한다. 

l  -V : 백업하는 방법을 지정.  

   

   

강성욱 / http://sqlmvp.kr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CnetOS 방화벽 설정  (0) 2015.07.22
CentOS 파일 압축/풀기  (0) 2015.07.22
CentOS IP 확인 및 변경  (0) 2015.07.22
CentOS 호스트명 (HostName) 변경  (0) 2015.07.22
리눅스 기본 – 터미널 사용, 명령어 정리  (0) 2015.07.22

CentOS IP 확인 및 변경 

-       CentOS 5.1 

   

[IP 확인] 

현재 설정되어 있는 IP 확인 명령은 ifconfig 이다. 

 

   

   

[IP 변경] 

다음 명령을 실행 한다. 

/etc/sysconfig/network-scripts/ifcfg-eth0 

   

 

   

자동 할당 으로 설정되어 있다면 고정으로 바꾸고 IP를 부여 한다. 

 

   

l  BOOTPROTO=static ##ip할당 방식 (static : 고정 IP, dhcp : 동적 IP) 

l  HWADDR=xx:xx:xx:xx:xx:xx ## 맥주소  

l  BROADCAST= ## 브로드캐스트 주소  

l  IPADDR= ##아이피주소  

l  NETMASK= ##넷마스크 주소  

l  NETWORK= ##네트워크 주소  

l  GATEWAY= ## 게이트웨이 주소  

l  ONBOOT=yes ## 부팅시 자동 활성 여부 yes , no  

l  PEERDNS=yes ## dhcp 서버의 dns정보를 resolv.conf에 저장여부 yes or no  

l  DNS1= ## DNS주소  

l  DNS2= ##DNS주소  

l  USERCTL=no ## 일반 계정이 컨트롤 가능 yes no  

l  NM_CONTROLLED=yes ## 네트워크 관리도구 사용 미사용 yes no 

   

IP를 변경하였으며 저장 후 반드시 네트워크 재시작 또는 시스템 재시작을 해야 한다. 

네트워크 재시작은 다음 명령어를 사용할 수 있다. 

/etc/init.d/network restart 

   

   

GUI 모드에서 변경이 가능하다. [시스템] – [관리] – [네트워크]를 선택 한다. 

 

   

   

[네트워크 설정]에서 해당 장치를 선택하고 더블 클릭 또는 편집을 선택 한다. 

 

   

   

이더넷 장치에서 IP를 입력하고 저장한다.  

 

   

네트워크 또는 서비스를 재시작 한다. 

   

   

   

강성욱 / http://sqlmvp.kr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CnetOS 방화벽 설정  (0) 2015.07.22
CentOS 파일 압축/풀기  (0) 2015.07.22
CentOS 심볼 링크 설정  (0) 2015.07.22
CentOS 호스트명 (HostName) 변경  (0) 2015.07.22
리눅스 기본 – 터미널 사용, 명령어 정리  (0) 2015.07.22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