ZooKeeper 옵저버와 CLI · Version : Zookeeper 주키퍼는 리더가 모든 서버에 쓰기 요청을 보내고 과반수 이상의 응답을 받은 후 처리한다. 주키퍼 서버에 연결되는 클라이언트수가 많으면, 서버를 확장하여 읽기에 대한 부하분산이 가능하다. 하지만 서버가 늘어날 경우, 쓰기 연산 발생시 전체 서버에 대해서 응답을 기다려야 하기 때문에, 그만큼 성능 저하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위해 옵저버 개념이 도입되었다. 옵저버는 투표에 참여하지 않는 서버를 뜻한다. 리더는 쓰기 요청을 받고 각 서버로 쓰기에 대한 응답을 보내고 받을때, 옵저버 서버에는 보내지 않는다. 그리고 일반 서버의 투표에 의한 정상 처리인 경우, 쓰기 요청을 옵저버로 보내 옵저버의 로컬 메모리에 데이터를 기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