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1386

자성예언 (self-fulfilling prophecy) - 학습 수준이 기대 수준에 부합되게 일어나는 현상

자성예언 (self-fulfilling prophecy) - 학습 수준이 기대 수준에 부합되게 일어나는 현상 - 자기 충족 예언이라고도 한다. 어떤 행동이나 학습을 함에 있어 학습자가 보이는 학습 수준이 기대 수준에 부합되게 일어나는 현상. 머턴(R. Merton)이 사용한 용어로 자성 예언(自成例言)이라고도 하며, 피그말리온 효과(Pygmalion effect), 플러시보 효과(placebo effect) 등은 자기 충족 예언과 동일한 의미이다. 피그말리온 효과 : http://sqlmvp.kr/140190859845 영향력있는 타인의 기대 수준이 학습자의 수행 능력에 미치는 영향력이다. 개인은 타안이 바라보는 자기 자신에 대한 이미지에 맞추어 행동을 하려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기대에 따라 학습자의 수..

심리학 2015.07.20

자이가르닉 효과 (Zeigarnik Effect)

자이가르닉 효과 (Zeigarnik Effect) - 열중하던 것을 도중에 멈추게 되면 정신적 강박이 형성되고 미련이 남아 뇌리에 박히게 되는 심리 현상 쉽게 말하면 어떤것을 마무리 짓지 못하였을 때 아쉬움에 대한 심리적 감정이다. 자이가르닉 효과는 러시아의 심리학자 자이가르닉의 이름을 딴 것이다. 완결된 행동보다 미완결된 행동이 더 잘 기억되는 효과를 의미한다. 자이가르닉 효과의 원천은 긴장이다. 책을 재미있게 읽다가 일이 생겨 도중에 읽지 못하게 되면 다시 책을 읽을 때 자연스럽게 내용이 연결될 수 있도록 그 전 내용을 기억이 놓지 않으려고 한다. 이렇게 형성된 긴장의 끈은 내용을 이어주고 나서도 역할을 계속 한다. 목적을 달성하기 전까지는 긴장이 사라지지 않는다. 우리 일상 생활에서의 자이가르닉 효..

심리학 2015.07.20

굿가이 컴플렉스 (Good Guy Complex) - 착한 사람이 되어야 한다는 강박 관념

굿가이 컴플렉스 (Good Guy Complex) - 착한 사람이 되어야 한다는 강박 관념 - 굿가이 컴플렉스는 '착한 사람이 되어야 한다"는 강박 관념이다. 이러한 강박 관념을 가지고 있는 리더는 부하에게 절대 싫은 소리를 하지 않는다. [직장의 신 - 백도남] 부하에게 불만이 있어 뭔가 하고 싶은 말이 있어도 표현하지 않고 속으로만 상대를 미워한다. 심리학에서는 이런 것을 인지 부조화(cognitive dissonance) 라고 한다. 불만은 있는데(생각) 말을 하지 않는(행동)것이다. 굿가이 컴플렉스를 가진 리더들이 주로 하는 말이 "좋은 게 좋은거지" 라는 말을 하는데 이런 식으로 걸끄러운 이슈에 대해 말하는 것을 자꾸 포기 하다보면 리더는 부하에게 무관심하게 된다. 사람들은 스트레스를 받거나 불..

심리학 2015.07.20

갓 컴플렉스 (God Complex) - 자신의 오류를 인정하지 않으면서 주장을 관철하려는 문제 행동

갓 컴플렉스 (God Complex) - 자신의 오류를 인정하지 않으면서 주장을 관철하려는 문제 행동 - 자신의 능력이나 권한, 지위 등에 대한 과신으로 오류 혹은 그 가능성을 인정치 않으며 반발과 사회규범을 거스르면서까지 뜻과 주장을 관철하려는 문제 행동 심리학에서 말하는 갓 컴플렉스는 자기가 남들보다 우월한 존재라고 생각하고 자신의 판단이 다른 사람보다 항상 옳다고 믿는 증상을 뜻한다. 갓 컴플렉스에 빠져있는 사람은 몇 가지 징후가 있다. 우선 판단(judgment)의 언어를 즐겨쓴다. "당신은 이기적이야" "당신은 오만해" 등의 판단의 말을 쉽게 내 뱉는다. 또 다른 징후는 권위를 지키는데 지나치게 목을 매는 것이다. 갓 컴플렉스에 빠져 있는 리더가 있다면 이는 매우 위험한 조직이 될 수 있다. 이..

심리학 2015.07.20

민모션 증후군 (Minmotion Syndrome)

민모션 증후군 (Minmotion Syndrome) - 울고 싶은데도 소리내어 울지 못하는 증후군. 마음이 많이 슬퍼 울고 싶을때 소리 내지 못하고 입술을 깨물거나 손으로 입을 막는 행동으로 자신의 울음소리를 내비치리 않으려는 심리 상태의 현상이다. 민모션 증후군을 가진 사람들의 특징으로는 남에게 자신의 감정을 드러내고 싶지 않아하는 소극적인 성격을 가진 경우가 많다. 슬플땐 소리내어 울자. '슬플 땐 울지 않으면 다른 장기가 대신 운다' 라고 영국의 정신과 의사 헨리 모스리가 한말이다. 미국 피츠버그대학 연구팀의 조사 결과에 의하면 건강한 사람과 위궤양을 앓는 남녀 173명을 조사한 결과 건강한 사람이 슬플 때 더 잘 운다는 것을 밝혀냈다. 또한 동맥경화증 환자도 소리내어 우는 사람일 수록 심장마비 발..

심리학 2015.07.20

리셋 증후군 (reset syndrome)

리셋 증후군 (reset syndrome) - 컴퓨터를 리셋(rest)하는 것처럼 현실도 리셋이 가능할 것이라 착각하는 사회적 병리현상을 말한다. 이 용어는 1990년 일본에서 처음 생겨났고 1997년 5월 일본 고베시에 발생한 초등학생 토막살인 사건 범인인 중학생(14)이 컴퓨터 게임광이었음이 밝혀지면서 널리 알려렸다. 한국에서는 2005년 6월 경기도 연천 전방 총기난사 사건을 저지른 김모 일병이 컴퓨터 게임광이었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리셋증후군이 화제가 되었다. 컴퓨터가 오류를 일으켰을 때 시스템을 초기화 상태로 되돌리는 일을 뜻하는 리셋(reset)과 증후군(syndrome)의 합성어 이다. 컴퓨터를 초기화 시키듯 현실세걔에서도 잘못된 부분이나 실수한 부분이 있으면 얼마든지 리셋이 가능할 것으로 ..

심리학 2015.07.20

앨리스 증후군 (Alice Syndrome) 물체가 왜곡되어 보이는 현상

앨리스 증후군 (Alice Syndrome) 물체가 왜곡되어 보이는 현상 - 자신만이 신기한 시각적 환영으로 볼 수 있는 것으로 보통 편두통을 앓게 되며 물체가 커보이거나 작아 보이는 등 왜곡되어 보이며 마치 망원경을 거꾸로 들고 보는것처럼 멀어보이거나 하는 증상을 말한다. 영국의 정신과 박사가 토드(Todd) 자기 논문에 기재한 것으로 유래되며 토드 증후군(Todd's syndrome)이라고도 불린다. 이는 마치 동화속의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 처럼 현실에서 일어 날 수 없는 것을 보는 것과 비슷하다. 앨리스 증후군은 드라마 시크릿가든에서 김주원(현빈)이 앓았던 증후군으로 유명하다. 아직 정확한 원인이 밝혀지고 있지는 않다. 여러 가설로는 측두엽의 이상으로 인해 시각정보를 잘못받아 들여 왜곡되어 보일..

심리학 2015.07.20

피스트 증후군 - 망각상태에서 혼자 말을 지어내는 현상

피스트 증후군 - 망각상태에서 혼자 말을 지어내는 현상 - 혼자 망각 상태에 빠져 누가 대답해 주지 않아도 혼자서 말을 지어내는 현상 피스트 증후군은 많이 알려져 있지 않으며 많은 사람들이 자페증이랑 혼돈하는 경우가 많다. 자페증의 원인은 주로 기능의 문제이다. 어떠한 부분이 문제인지 아직 확인하게 밝혀진바는 없지만 선천적, 생물학적, 의학적 원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뇌 기능 장애를 일으키고 이것이 전반적인 발달 장애로 나타나는 것을 말한다. 피스트 증후군은 혼자 망각 상태에 빠져 누구도 대답해 주지 않아도 혼자서 말을 지어내고 답을 하는 등 기능적인 이상보다 후천적인 정신적 문제인 경우가 많다. 피스트 증후군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따뜻한 관심과 격려가 필요하다. p.s : 피스트 증후군으로 국내 포털에..

심리학 2015.07.20

바넘 효과(Barnum Effect) - 보편적인 특징을 자신만의 특징으로 여기는 현상

바넘 효과(Barnum Effect) - 보편적인 특징을 자신만의 특징으로 여기는 현상 - 사람들이 보편적으로 가지고 있는 성격이나 심리를 자신만의 특성으로 여기는 심리적 현상. 포러효과(Forer Effect) 라고도 한다. [피니어스 테일러 바넘] 바넘 효과는 19세기 말 곡예단에서 사람들의 성격과 특징 등을 알아내는 일을 하던 바넘(P.T Barnum)에서 유래되었다. 1940년대 말 심리학자 포러(Bertram Forer)가 성격 진단 실험을 통해 처음 증명한 까닭에 [포러효과]라고도 한다. 포러는 자신이 가르치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성격 테스트한 뒤 그 결과와 상관없이 신문에 기제된 점성술난의 내용 일부만 고쳐서 학생들에게 나누어 주고 이 테스트결과가 자신의 성격과 맞는지를 학생들이 평가하게 하였..

심리학 2015.07.20

리마 증후군 (Lima syndrome)

리마 증후군 (Lima syndrome) - 리마 신드롬이라고도 하며 인질범들이 인질들에게 정신적으로 동화되어 자신을 인질과 동일시 함으로써 공격적인 태도가 완화되는 현상. 1997년 페루 리마에서 반정부 조직 요원들이 127일 동안 인질들과 함께 지내면서 차츰 인질들에게 동화되어 가족과 안부 편지를 주고받고 미사 의식을 여는 등의 현상을 보였는데서 '리마'라는 이름이 붙었다. 인질범은들은 인질들과 함께 생활하면서 인질들을 위한 의약품류의 바입을 허용하는 한편 자신들의 신상을 털어 놓는 등 인질들에게 동화되는 여러가지 현상을 빗대어 심리학자들이 붙인 범죄심리학 용어이다. 연애에 있어서도 사랑에 슬픔이 동화되어 그것을 인정하지 않으려는 현상으로 아직도 나는 사랑을 하고 있다는 착각과 혼란에 빠지게 된다. ..

심리학 2015.07.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