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리학 58

뷰 캐넌 증후군 (Buchanan Syndrome)

뷰 캐넌 증후군 (Buchanan Syndrome) - 루이뷔통, 프라다, 샤넬 등의 명품을 앞에두고 느끼는 감정으로 명품을 구입하는 사람들이 경제적으로 자기보다 아래 계증 사람들과 구별하기 위한 비교, 쾌감이나 정복감, 억압으로부터 해방감까지 감정 등을 복합적으로 가리키는 말이다. 뷰캐넌 증후군은 스콧 피츠 제럴드의 소설 [위대한 개츠비]에서 개츠비의 옛 애인인 [데이지 뷰캐넌]이 아름다운 셔츠를 보고 무아지경에 이르러 눈물까지 보이는 자면에서 비롯된 용어이다. 뷰캐넌을 잘 표현한 영화로 [쇼퍼홀릭]이 있다. 이러한 사회 현상을 분석하여 쓴 책이 [력셔리 신드롬]이다. 이는 제임스 트위첼의 [력셔리 신드롬]이라는 책에서 유래 되었다. [럭셔리 신드롬]은 광고학 교수이자 영문학자인 저자가 경제, 사회, ..

심리학 2015.07.20

단순 노출 효과 (Mere Exposure Effect) - 상대방과 만남을 거듭할수록 호감을 갖게 되는 현상

단순 노출 효과 (Mere Exposure Effect) - 상대방과 만남을 거듭할수록 호감을 갖게 되는 현상 - 노출 효과 또는 단순 노출효과라 불리며 상대방과 만남을 거듭할수록 호감을 갖게 되는 현상이다. 비슷한 용어로 단순 접촉 효과, 반복효과, 자이언스 효과 등으로 불리기도 한다. 이 현상은 미국의 심리학자 로버트 자이언스(Robert Zajonc)가 이론을 정립 하였다. 그는 대학생들에게 12장의 얼굴 사진들을 무작위로 여러 번 보여 주고 얼마나 호감을 느끼는지를 측정했다. 사진을 보여주는 횟수를 0회, 1회, 2회, 5회, 10회, 25회 등 6가지 조건으로 나누고, 호감도를 분석한 결과 사진을 보여 주는 횟수가 증가함에 따라 호감도도 증가했다. 즉 모르는 사람의 사진도 자꾸 반복해서 보게 됨..

심리학 2015.07.20

로스트 베이로제 증후군 - 힘들거나 우울할 때 자기도 모르게 기대는 현상

로스트 베이로제 증후군 - 힘들거나 우울할 때 자기도 모르게 기대는 현상 - 힘들거나 우울할 때 자기도 모르게 기대는 현상으로 힘든 그 순간만 기억에서 잊혀지게 되며 나중에는 전혀 기억이 나지 않는다. 대표적으로 겉으로는 강한 "척"을 하거나 믿음직스러운 "척"을 하는 사람들에게 나타난다. 우리는 일상생활에서 수 많은 스트레스와 어려움에 부딪히게 된다. 이럴때 심리적인 압박감으로 인해 불안함, 초조함 등 심리적으로 불안정한 상태가 된다. 우리는 하루의 기분을 풀기 위해 친구들과 수다를 떨거나 쇼핑을 하거나 취미에 몰두하는 등 감정을 해소하려고 노력한다. 이처럼 타인 또는 혼자서 감정을 해소하는 것을 로스트 베이로제 증후군이라 한다. 현대들어서 많이 발생하고 있으며 사회가 급격한 속도로 변하고 이에 따라 ..

심리학 2015.07.20

롤리타신드롬(Lolita Syndrome)

롤리타신드롬(Lolita Syndrome) - 아직 성인이 되지 못한 소녀에 대해 성적인 집착을 보이는 것. 러시아 출신의 작가인 블라디미르 나보코프의 소설인 [롤리타(Lolita)]에서 유래된 용어이다. 소설의 남자 주지인공은 자신의 의붓딸인 12세 소녀 롤리타에게 집착을 보이다가 결국 아내를 사고로 죽이고 롤리타를 차지하게 된다. 소설에서 주인공인 중년 남성이 어린 소녀에게 보였던 성적인 집착이나 성도착증을 가리켜 롤리타신드롬이라 칭하게 되었다. 오늘날의 사회적 문제로 부각되는 원조교제역시 롤리타신드롬의 한 형태라 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남자아이에게서 성적 매력을 느끼는 것을 쇼타로 컴플렉스(쇼타콘)라 한다.

심리학 2015.07.20

해리성 정체감 장애(dissociative identity disorder)

해리성 정체감 장애(dissociative identity disorder) - 해리성 장애(Dissociative Disorder)의 하나로 사람 안에 둘 또는 그 이상의 각기 구별되는 정체감이나 인격 상태가 존재하는 것. 해리성 장애의 원인은 보통 성장 시기에 충격적인 사건을 경험한 과거력을 가지는 것으로 되어 있으나 아직 정확한 원인은 알려져 있지 않다. 일반적으로 충격적 사건, 질환 발생, 환경적 요소, 외부 지원 기능의 부재 4가지 요소가 있다. 어렸을 때 충격적인 사건은 신체적, 성적 학대와 연관된 경우가 많다. 일반적인 해리성 장애의 다중 인격 수는 5 ~ 10가지 정도이다. 성격 간의 이동은 매우 급작스럽고 드라마틱하게 이루어진다. 환자들은 일반적으로 이런 상황을 기억하지 못한다. 경우에 ..

심리학 2015.07.20

자성예언 (self-fulfilling prophecy) - 학습 수준이 기대 수준에 부합되게 일어나는 현상

자성예언 (self-fulfilling prophecy) - 학습 수준이 기대 수준에 부합되게 일어나는 현상 - 자기 충족 예언이라고도 한다. 어떤 행동이나 학습을 함에 있어 학습자가 보이는 학습 수준이 기대 수준에 부합되게 일어나는 현상. 머턴(R. Merton)이 사용한 용어로 자성 예언(自成例言)이라고도 하며, 피그말리온 효과(Pygmalion effect), 플러시보 효과(placebo effect) 등은 자기 충족 예언과 동일한 의미이다. 피그말리온 효과 : http://sqlmvp.kr/140190859845 영향력있는 타인의 기대 수준이 학습자의 수행 능력에 미치는 영향력이다. 개인은 타안이 바라보는 자기 자신에 대한 이미지에 맞추어 행동을 하려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기대에 따라 학습자의 수..

심리학 2015.07.20

자이가르닉 효과 (Zeigarnik Effect)

자이가르닉 효과 (Zeigarnik Effect) - 열중하던 것을 도중에 멈추게 되면 정신적 강박이 형성되고 미련이 남아 뇌리에 박히게 되는 심리 현상 쉽게 말하면 어떤것을 마무리 짓지 못하였을 때 아쉬움에 대한 심리적 감정이다. 자이가르닉 효과는 러시아의 심리학자 자이가르닉의 이름을 딴 것이다. 완결된 행동보다 미완결된 행동이 더 잘 기억되는 효과를 의미한다. 자이가르닉 효과의 원천은 긴장이다. 책을 재미있게 읽다가 일이 생겨 도중에 읽지 못하게 되면 다시 책을 읽을 때 자연스럽게 내용이 연결될 수 있도록 그 전 내용을 기억이 놓지 않으려고 한다. 이렇게 형성된 긴장의 끈은 내용을 이어주고 나서도 역할을 계속 한다. 목적을 달성하기 전까지는 긴장이 사라지지 않는다. 우리 일상 생활에서의 자이가르닉 효..

심리학 2015.07.20

굿가이 컴플렉스 (Good Guy Complex) - 착한 사람이 되어야 한다는 강박 관념

굿가이 컴플렉스 (Good Guy Complex) - 착한 사람이 되어야 한다는 강박 관념 - 굿가이 컴플렉스는 '착한 사람이 되어야 한다"는 강박 관념이다. 이러한 강박 관념을 가지고 있는 리더는 부하에게 절대 싫은 소리를 하지 않는다. [직장의 신 - 백도남] 부하에게 불만이 있어 뭔가 하고 싶은 말이 있어도 표현하지 않고 속으로만 상대를 미워한다. 심리학에서는 이런 것을 인지 부조화(cognitive dissonance) 라고 한다. 불만은 있는데(생각) 말을 하지 않는(행동)것이다. 굿가이 컴플렉스를 가진 리더들이 주로 하는 말이 "좋은 게 좋은거지" 라는 말을 하는데 이런 식으로 걸끄러운 이슈에 대해 말하는 것을 자꾸 포기 하다보면 리더는 부하에게 무관심하게 된다. 사람들은 스트레스를 받거나 불..

심리학 2015.07.20

갓 컴플렉스 (God Complex) - 자신의 오류를 인정하지 않으면서 주장을 관철하려는 문제 행동

갓 컴플렉스 (God Complex) - 자신의 오류를 인정하지 않으면서 주장을 관철하려는 문제 행동 - 자신의 능력이나 권한, 지위 등에 대한 과신으로 오류 혹은 그 가능성을 인정치 않으며 반발과 사회규범을 거스르면서까지 뜻과 주장을 관철하려는 문제 행동 심리학에서 말하는 갓 컴플렉스는 자기가 남들보다 우월한 존재라고 생각하고 자신의 판단이 다른 사람보다 항상 옳다고 믿는 증상을 뜻한다. 갓 컴플렉스에 빠져있는 사람은 몇 가지 징후가 있다. 우선 판단(judgment)의 언어를 즐겨쓴다. "당신은 이기적이야" "당신은 오만해" 등의 판단의 말을 쉽게 내 뱉는다. 또 다른 징후는 권위를 지키는데 지나치게 목을 매는 것이다. 갓 컴플렉스에 빠져 있는 리더가 있다면 이는 매우 위험한 조직이 될 수 있다. 이..

심리학 2015.07.20

민모션 증후군 (Minmotion Syndrome)

민모션 증후군 (Minmotion Syndrome) - 울고 싶은데도 소리내어 울지 못하는 증후군. 마음이 많이 슬퍼 울고 싶을때 소리 내지 못하고 입술을 깨물거나 손으로 입을 막는 행동으로 자신의 울음소리를 내비치리 않으려는 심리 상태의 현상이다. 민모션 증후군을 가진 사람들의 특징으로는 남에게 자신의 감정을 드러내고 싶지 않아하는 소극적인 성격을 가진 경우가 많다. 슬플땐 소리내어 울자. '슬플 땐 울지 않으면 다른 장기가 대신 운다' 라고 영국의 정신과 의사 헨리 모스리가 한말이다. 미국 피츠버그대학 연구팀의 조사 결과에 의하면 건강한 사람과 위궤양을 앓는 남녀 173명을 조사한 결과 건강한 사람이 슬플 때 더 잘 운다는 것을 밝혀냈다. 또한 동맥경화증 환자도 소리내어 우는 사람일 수록 심장마비 발..

심리학 2015.07.20